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기초

by 찌르렁 2020. 10. 26. 17:54

본문

서브넷 마스크 또한 부족해진 IP 주소 체계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32비트의 크기로 1, 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IP 주소의 "Network 주소"와 "Host 주소"를 구분해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서, IP 주소의 성과 이름을 알려주는 것이라 봐도 된다. Network 주소는 부모 주소, 고정 자리라고 할 수 있으며 1로 이루어져 있다. Host 주소는 자식 주소, 자유 자리라고 할 수 있으며 0으로 이루어져 있다.

 

Network 주소  +  Host 주소
  부모 자리         자식 자리
  고정 자리         자유 자리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는 같은 네트워크 그룹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기준"을 제공해 주며, 같은 네트워크 그룹 간에는 네트워킹(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Network 주소가 동일한 모든 IP 주소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통신을 위해서는 Network 주소가 반드시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Network 주소가 동일하면 Host 주소가 어떤 것이어도 통신이 가능하다. 사람이 성이 여러 개일 수 없듯이 서브넷 마스크도 Network 주소가 여러 개일 수 없다. 따라서 1로 Network 주소를 나타내 주다가 Host 주소를 나타내는 0이 등장하면 다시는 1이 표기될 수 없다.

  •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O)

  • 11111111.00000000.11111111.00000000 (X)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뒤에 바로 나타내며 띄워서 표현하거나, IP 주소 마지막에 "/자리 수"로 표현한다. 이때 자리수는 32비트 크기 기준으로 "8"일 경우 앞 8비트가 Network 주소 나머지가 Host 주소, "24"일 경우 앞 24비트가 Network 주소 나머지가 Host 주소라는 의미이다.

 

다음은 서브넷 마스크의 예시이다.

Subnet mask 예시

그렇다면 다음의 예시는 어떻게 될까?

  1. 192.168.30.4/16

  2. 192.168.40.5/8

위의 예시에서는 서브넷 마스크가 달라서 첫 번째는 Network 주소가 192.168.0.0이고, 두 번째는 Network 주소가 192.0.0.0이다. 서브넷 마스크가 달라서 통신이 될 수 없다고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서브넷 마스크는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무슨 뜻이냐면, 서브넷 마스크 주소가 작은 두 번째의 IP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 주소가 큰 첫 번째의 네트워크 주소 크기인 16 bit까지 보았을 때, 두 주소가 동일하기 때문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가 달라도 서브넷 마스크가 큰 IP 주소의 위치까지 보았을 때, 두 개의 IP 주소가 동일하면 통신이 가능하다.

 

A Class 네트워크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 255.0.0.0을 사용하고 B Class 네트워크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 255.255.0.0을 사용하며, C Class 네트워크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을 사용한다.

 

기본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teway (게이트웨이)  (0) 2020.10.26
Scope (대역대)  (0) 2020.10.26
Classful Network (클래스)  (0) 2020.10.26
IP Address (아이피 주소)  (0) 2020.10.26
진수 (進數)  (0) 2020.10.2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