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outer (라우터)

네트워크 기초

by 찌르렁 2020. 10. 26. 20:12

본문

라우터는 송신 정보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경로를 선택하여 가장 적절한 경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해 주는 장치이다. Router에서 Route는 "길, 경로, 루트"라는 뜻으로 최적 경로로 전송을 해주는 장비를 말한다.

 

Route(길, 경로, 루트) + r

Router(라우터)

 

라우터는 3계층 장비(L3)로써 같은 대역대만 연결해 주는 L1 장비인 허브와 L2 장비인 스위치와 달리, 서로 다른 대역대를 연결해 준다.

 

라우터를 제작하는 세계적인 대표회사는 Cisco이다. Cisco 라우터 중 2500 시리즈는 픽스형 인터페이스를 갖는데 이 픽스형이란, 고정형을 뜻한다. 즉 인터페이스 확장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2500 시리즈는 현장에서 사용은 가능하지만 오래되었고 인터페이스가 확장 불가하여 현재 2600 시리즈 장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Cisco 2500 Series

2600 시리즈는 확장이 가능한 모듈형 인터페이스(Modular Interface)를 지원하는 장비이다. 빈 슬롯에 모듈을 삽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Serial를 부를 때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에서 위의 순서로 번호를 매긴다". (S0/0, S0/1, S0/2, S1/0, S1/1, S1/2 ... )

 

Cisco 3725(위), Cisco 2600 Series(아래)

포트 명

특징

Serial Ports

WAN 선의 연결에 사용하는 포트

FastEthernet

LAN 선의 연결에 사용하는 포트

Console Port, Auxiliary Port

관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원격이 아닌 라우터에서 직접 작업할 경우 연결하는 포트이다.

Aux(Auxiliary) 포트는 Console 포트의 보조 포트 역할을 한다.

Power Switch

전원 On/Off 스위치

Power Cord Connection

전원 연결

Cisco Module

해당 모듈들이 존재하며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고가의 장비이다.


라우터 (연결 상태 아님)

위의 그림은 라우터와 컴퓨터(End Device)를 케이블로 연결해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붉은색으로 연결 상태가 아니라고 나타내고 있다. 허브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 즉시 연결 상태로 진입하고 스위치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연결 상태로 들어가지만 라우터는 특정한 명령을 넣기 전까지 "Shutdown"된 상태로 붉은 점으로 연결 불가 상태로 있는다. 다음 명령을 통해 연결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Router (Command Line Interface)

제일 첫 줄에 "Continue with configuration dialog? [yes/no]"라는 질문이 나타난다. 라우터의 첫 작동 시에는 Configuration File이 없기 때문에 해당 질문에서 "yes"를 입력할 경우, Setup Mode로 진입한다. 이 모드는 Configuration File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나타나 Interactive 한 라우터 설정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보통 라우터를 처음 동작시킬 때, 라우터의 구성 파일이 없기 때문에 라우터가 부팅하면서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이다. 라우터가 구성에 관계된 질문을 하나씩 던지고 사용자는 이 질문에 대답하면서 구성 파일을 설정한다. "No"를 입력할 경우 명령어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빠르게 구성환경을 설정해 줄 수 있다.

 

다음은 그림에서 입력한 명령어들에 대한 설명이다.

 

번호 명령어 (Command) 설명
enable 유저모드에서 Privilege 모드로 전환
전환 시, 명령줄 앞에 "#"표시가 나타남
운영자 모드로써, 라우터의 모든 명령어가 가능하다. (라우터의 구성 확인 및 변경 가능)
configure terminal Privilege 모드에서 Global Configure 모드로 전환
전환 시, 명령줄 앞에 "(config)#" 표시가 나타남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모드
보통 Config 모드라고 하며 Privilege 모드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음
hostname [라우터 명] Config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며 라우터 호스트의 이름을 변경시킴
"이름"에 원하는 라우터명을 입력하면, 명령줄 앞에 해당 이름으로 표시됨
위의 예시에서는 "router"를 "R1"으로 변경
interface fastethernet [번호] Config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며, Interface Configuration 모드로 전환
전환 시, 명령줄 앞에 "(config-if)" 표시가 나타남
ip address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config-if 모드에서 해당 이더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IP 주소를 입력
no shutdown config-if 모드에서 통로를 열 때, 사용
기본적으로 모든 통로는 닫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개방 가능
기본적으로 모든 명령어에 "no"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의 반대 명령이 실행
end
(단축키는 ctrl+z)
다시 Privilege 모드에서 돌아오는 명령어
"exit" 명령어를 사용 시에는 한 단계씩 이전 단계로 돌아가지만 해당 명령어는 어느 위치든 Privilege 모드로 돌아감
show ip interface brief Privilege 모드에서 사용
해당 라우터의 interface 상태를 알려줌

 

마지막 8번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볼 수 있듯이 뒤 그림의 명령어를 통해 "status"가 "up"이 되어 라우터의 FastEthernet 0/0의 통로가 열렸다. 따라서 명령어를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각 통로를 열어주게 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된다. IP-Address를 보면, 192.168.10.254로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192.168.10.1)와 다르다. 이는 게이트웨이 IP 주소이며, 컴퓨터는 해당 게이트웨이 관문을 통해 다른 대역대로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라우터 (연결된 상태)

왼쪽은 FastEthernet 0/0의 통로가 열린 모습이고 나머지 통로도 명령어를 통해 열어주게 되면 오른쪽과 같은 상태가 된다.

 

IP 연결 상태 확인 (192.168.20.1 → 192.168.10.1)

위의 상태창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통신이 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첫 통신에 "Request timed out"이 발생하는 이유는 최초로 통신이 되어 아직 주소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상태여서 broadcast로 송신하여 그렇다. 처음 통신 이후부터는 통신이 지속적으로 성공된다.)


해당 모드에 명령어가 무엇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에는, "?"을 입력하면 화면에서 현재 입력 가능한 명령어들을 모두 보여준다. 또한 명령어를 입력할 때, 축약해서 사용해도 명령어가 입력된다. 특정 명령어를 앞 글자부터 입력하면서 문자열이 되었을 때, 해당 문자열을 가지고 있는 명령어가 하나밖에 없을 경우 Tab 키를 누르면 전체 명령문이 자동 완성된다. 물론 Tab 키 없이 입력만 하여도 명령이 실행 가능하다.

 

예를 들어,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와 같은 명령어의 경우 address에서 add만 쳐도 add를 가진 명령어가 address 밖에 없기 때문에 address를 굳이 다 입력하지 않아도 입력 시 명령어가 실행이 된다. 위의 Router(CLI) 그림을 보면,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으로 실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계정 설정 및 패스워드 암호화  (0) 2020.10.26
라우터 암호 설정  (0) 2020.10.26
Switch (스위치)  (0) 2020.10.26
Hub (허브)  (0) 2020.10.26
Gateway (게이트웨이)  (0) 2020.10.2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